2022.06.28조회수36
2023 해외정책연구 지원사업
KF 해외정책연구 지원사업은 한국 관련 외교, 안보, 정치, 경제, 사회 분야 글로벌 현안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유관 정책을 제언하는 해외 연구 활동과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신청자격
해외(미국 제외) 정책연구소(싱크탱크) 및 대학 소속 연구소 ※ 기관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개인은 단독으로 신청 불가 ※ 미국 지역 연구소는 이 링크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링크 : https://bit.ly/KFGRANTUSONLY
대상사업
1. 한국 관련 정책연구 및 세미나
(예시)
- 한반도 관련 이슈: 안보, 한미 동맹, 핵확산 방지, 소프트 파워, 한일관계 등
- 과학기술 협력 이슈: AI, 사이버 안보, 5G/6G, 퀀텀 컴퓨팅, 반도체 등
- 글로벌 이슈: 인권, 민주주의, 기후변화 및 환경, 에너지, 공급망, 포스트 코로나 국제질서, 지정학적 변화 등
2. 한국 정책 연구를 전담하는 연구직 또는 연구부서/프로그램 신설 및 운영
(예시) Korea Chair/Fellow, Korea Center, Korea Program
사업일정
1. 신청기간: 2022년 7월 1일 ~ 8월 31일 (18:00 KST) 2. 결과발표: 2022년 12월 31일 이전 ※ 신청서 작성시 제출한 이메일로 통보 서신 발송
공고 및 신청 바로가기
2022.06.28조회수13
북유럽 3개국 차세대 언론인 방한
차세대 지한 언론인을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는 북유럽 언론인 5인을 6.12(일)부터 6.18(토)까지 일주일간 한국에 초청했습니다. 방한 초청 인사 그룹은 북유럽 3개국에서 정치, 사회, 테크,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다루는 차세대 언론인들로서, 덴마크 주요 일간지 벨링스케(Berlingske) 및 다그블라뎃 인포메이션(Dagbladet Information), 핀란드 주요 일간지 일타사노맛(Ilta-Sanomat), 스웨덴 온라인 비즈니스 매거진 리얼티드(Realtid) 등에서 활동 중인 기자들입니다. 방한 기간 동안 이들은 외교부를 방문하여 한국의 외교안보정책 및 대외홍보전략 등을 청취하는 한편, SM엔터테인먼트를 방문하여 한국의 아이돌 육성과 북유럽 작곡가·프로듀서와의 협업 현황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고려대학교 이재승 노르딕-베네룩스센터장 및 학생들과의 면담, 해외문화홍보원 산하 외신지원센터 외신지원전문가와의 만남도 마련되었습니다.
2022.06.28조회수5
인도네시아 차세대 언론인 초청
차세대 지한 언론인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는 인도네시아의 언론인 9인을 5.30(월)부터 6.4(토)까지 일정으로 한국에 초청했습니다. 이번에 방한하는 언론인들은 CNN Indonesia, Kompas(꼼빠스), Bisnis Indonesia, Metro TV 등 인도네시아 현지 주요 언론사에 소속되어 정치, 법, 금융,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다루고 있는 차세대 기자들로2012년부터 인도네시아 대통령궁 출입기자로 법, 정치 등 분야를 전문으로 다루는 Desca Lidya Natalia(데스카 리디야 나탈리아) ANTARA(안따라) 선임기자, 2019 인도네시아 외교부 수여 최고 기자상(Adam Malik Award)을 수상한 Riva Dessthania Suastha(리바 데스타니아 수아스타) CNN Indonesia 에디터, Muhammad Rusmadi(무함마드 루스마디) Rakyat Merdeka(라크얏 머르데까) 편집장 등 인도네시아의 유망한 차세대 언론인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아울러 Dino Patti Djalal(디노 파티 잘랄) FPCI 의장(前 인도네시아 외교차관)이 단장으로 함께 방문하였습니다. 이들은 방한 기간 동안 외교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주요 언론사 등을 방문하였고 KF 운영 아세안문화원, 시청자미디어재단 예방,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현장 견학 등 부산 방문 일정도 포함되었습니다. 이번 방한 초청은 지난해 KF 자카르타사무소와 인도네시아 현지의 정책 연구소인 인도네시아 외교정책 커뮤니티(Foreign Policy Community of Indonesia, FPCI)가 공동 추진한 〈인도네시아 차세대 언론인 네트워크〉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습니다.
2022.06.08조회수117
〈제1차 한호미래포럼〉 개최
공공외교 전문기관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가 호주 호한재단(Australia Korea Foundation/AKF)과 공동 주최하는 〈제1차 한호미래포럼〉이 5월 27일(금)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한-호 정상회담(2021.12.)을 계기로 한국 외교부 및 문화체육관광부와 호주 외교통상부 간 체결된 사회문화협력 MOU를 통해 발족한 동 포럼은 당시 정상회담으로 양국관계가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이후 최초로 열린 한국-호주 간 고위급 정례 대화 채널로서 이번 제1차 포럼은 서울에서 먼저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은 양국 간 대화체가 11년 만에 재개하였다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깊습니다. 한-호 간 대화체는 1989년 호주 캔버라에서 발족한 한호포럼 이후 한호대화, 한호리더스포럼 등의 이름으로 총 8차례 진행된 바 있었으나, 2011년 이후로는 중단되었습니다. 이번 포럼은 세 개의 세션 및 오찬 연설로 구성되었습니다. ▲(1세션) ‘진화하는 전략적 환경 내 한-호 공동의 이해와 협력 방안’, ▲(2세션) ‘글로벌 경제통상 리스크 관리를 위한 경제적 협력(글로벌 공급망 문제 해결 등 경제안보 분야 협력 방안)’, ▲(3세션) ‘예술과 문화 협력의 미래’ 등 세션별 주제 하에 진행되었으며, ▲오찬 연설은 ‘재계, 정계, 학계에서의 여성’을 주제로 하였습니니다. 한국 측 주요 인사로는 이근 KF 이사장, 박태호 前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하여 이백순 前 주호주대사,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 이정민 KAIST 안보융합원 초빙교수(前 외교부 국제안보문제담당대사), 이재민 서울대 교수, 마상윤 가톨릭대 교수, 윤금진 前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 이윤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전략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고, 호주 측에서는 캐서린 레이퍼(Catherine Raper) 주한호주대사, 피터 콜먼(Peter Coleman) 호한재단 이사장과 이사진을 비롯하여 마틴 워커(Martin Walker) 호주 외교부 동북아 심의관, 팀 웡(Tim Wong) 호주 총리내각부 공급망복원국 심의관, 고든 플레이크(Gordon Flake) 호주 퍼스 미국-아시아센터 소장 등이 주요 인사로 참석했습니다.
2022.05.23조회수1094
2022 KF 글로벌챌린저 아카데미 참가자 공모 안내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학업 열의 및 국제 활동 잠재력이 뛰어나지만 장기간 해외 거주 또는 유학 경험이 없는 우리 청년을 대상으로 글로벌 진출 역량을 함양하고 세계시민(Global Citizen)으로 도약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22년 'KF 글로벌챌린저 아카데미'를 새롭게 시작하였습니다. 이에, 참가자를 모집하고자 하니 아래를 참고하여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KF 2022 글로벌챌린저 아카데미 KF 글로벌챌린저 아카데미는 학업 열의 및 국제 활동 잠재력이 뛰어나지만 장기간 해외 거주 또는 유학 경험이 없는 우리 청년을 대상으로 글로벌 진출 역량을 함양하고 세계시민(Global Citizen)으로 도약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업내용 어학능력 및 국제 이해 제고를 위하여 국 내 및 해외에서의 외국어(영어) 역량 및 세계 이해, 해외 진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활동, 탐방 기회를 제공하고, 세계 시민으로서 인류 보편적 가치와 한국의 역할 등에 대한 본인의 관심사를 담은 주 제를 탐구하는 기회를 부여합니다. 프로그램 세부 추진일정 및 내용은 추후 변경 가능 국내 (7월~8월 중순 및 2023년 1월 온오프라인 병행) 오리엔테이션 기본교육: 비즈니스 매너, 성평등 교육, 해외안전교육, 커뮤니케이션, 팀워크 빌딩 등 | 국제이해 교육 국제사회와 한국의 역할, 이문화 및 문화다양성 이해, 공공외교 및 글로벌 주요 현안 이해, 한국 이해 심화 등 사전 어학 교육: 영어 논문 작성, 인터뷰, 면접 스킬 연습 및 영미권 문화이해 등 해외 진출 진로 탐색 정보 제공, 주요 인사 멘토링 및 성과발표회 등 해외(미국) (8월 중순 ~ 12월 오프라인) 현지 기관 연수 및 탐방 주요기관 방문 등 공통 자유탐구과제 수행 및 성과 발표 신청 자격 만 35세 미만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4년제 이상 국내 대학에서 1년 이상 재학 중인 학생 (대학 입학 후 최소 2학기를 마친 학생만 가능) 영어 가능자: 토플 IBT 58점 이상 또는 토익 650점 이상인 자 학부 학점이 3.0/4.5점 이상인 자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신청요건 우대사항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서류전형 가산점 3점) 초등학교-대학교 재학 중 6개월을 초과하여 어학을 비롯한 각종 연수, 진학 또는 인턴십 등을 목적으로 해외에 체류한 경험이 없는 자 지원사항 국내 및 해외연수 프로그램 참가비 공식 체험 및 방문 일정 관련 경비 포함 해외 숙식비 (정액) - 여행자보험료 국제선 왕복 항공료의 80% 경제적 사회 배려 대상자에 한하여 전액 지급 비자발급비는 자담 단, 경제적 사회 배려 대상자에 한해 재단 무담 프로그램 이수 증명서 발급 프로그램을 충실히 이행한 자에 한하여 프로그램종료 후 발급 참여 일수 미달, 필수과제 미이행 등 정해진 기준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증명서 발급 불가 우수 활동자에 대해서는 별도의 부상 제공 가능하며, 향후 KF 글로벌 챌린저 신청 시 가산점 제공 검토 . 모집 및 선발일정 KF 신청서접수 마감 ~6.1(수) 소속대학 국제교류처에서 동 프로그램에 적합한 인사에 대한 추천공문 및 개인별 신청서류를 재단에 발송 필요 대학별 신청일전 및 신청서류 등은 소속대학 국제교류처로 문의 요망 대학 추천 공문 없이 개인적으로 제출하는 신청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서류 및 면접 평가 6.6(월)~6.10(금) KF 진행, 문의처: gcacademy akt.or.kr합격자 발표 6.14(수) 면접 평가는 대면 혹은 화상으로 진행 예정이며, 영어 인터뷰가 진행될 수 있음 면접 평가 일정 및 합격자 발표는 당사자에 한해 이메일로 개별 통보 예정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상세 내용은 KF 홈페이지(kf.or.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신청 구비서류 제출방법 2022년 6월 1일 (수)까지 공문을 통해 신청서 및 추천서 제출 대학별로 공문을 통해 신청서 제출 기한 준수 요망 KF 2022 GLOBAL CHALLENGERSACADEMY
KF 글로벌챌린저 아카데미 공고문 다운로드